본문 바로가기

DevOps2

EC2 배포 + 도메인 연결 나름 첫 시도라 배포까지 2일 삽질 했다. 순서를 정해보자 1. EC2 인스턴스 도메인 연결 - 도메인 가비아인가 뭔가에서 많이 사용하던데(구글예제가 많아서 그런가..) 가격 비슷하니 그냥 aws 꺼 쓰자 - EC2 인스턴스 생성과 도메인 구매이후 부터 시작 2. nginx 3. docker 1. EC2 인스턴스 도메인 연결 - Route53 에서 레코드 생성으로 가서 등록 해준다. - 값 부분에 EC2 인스턴스 public ip4 주소를 입력 한다. EC2 로 가서 네트워크 보안에 인바운드규칙을 등록 해준다. - 유형에 사용자 지정TCP 로 설정 하고 포트 번호를 지정 할수도 있다 aws 설정은 끝났다. 2. nginx 프로젝트를 git으로 서버에 올린다음 nginx 를 설치 하자. $ /etc/ngi.. 2021. 10. 25.
Dockerfile 도커를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배포 해보자 dockerfile은 도커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필요하다. FROM - 도커 이미지를 만들 베이스 지정 한다. (aws도 우분투로 해서 똑같이 해주었다.) RUN - 프로젝트가 실행 될수 있는 패키지를 다운 받는다. - 리눅스 os 를 최초 설치 할때와 같다고 생각 하면 된다. WORKDIR - 도커 컨테이너 내부에 폴더를 생성 한다. (경로지정) ADD - 프로젝트가 옮겨질 경로를 지정 한다. EXPOSE - 도커 컨테이너 내부 포트를 지정 한다. - 외부에서 특정 포트로 접속 한다면 내부 5000번 포트로 포워딩 된다는 의미이다. CMD - 프로젝트 셋팅이 완료 된 이후 시행할 명령어를 입력 하는 곳이다. - CLI 명령어 띄어쓰기마다 , 로 구분 해준다. 다른.. 2021. 10. 8.